공모사업 소개

씨앗에서 숲까지, 마을공동체가 성장하다

마을공동체는 어떻게성장할까요? 우리는 마을공동체의 성장을 '자연적성장주기(natural life cycle)'에 따라
생각해보기로 했습니다. 자연적성장주기? 식물의 성장단계를 생각하면 됩니다. 식물이 '씨앗'에서 '새싹'이 나오고,
이 새싹에서 '열매'가 나옵니다. 결국 이 모든 것들이 모여 하나의 '숲'을 이루지요.
우리는 이렇게 마을공동체의 성장이 1000개의 공동체가 모여 숲을 이루는 것과 같다고생각합니다.
이런 과정에는 섬세함이 필요합니다. 동네에서 무언가 해보고 싶은분, 삼삼오오 작당 모의를 꿈꾸는 분,
마을일을 하며 힘들거나 어려운 점이 있을때 언제든지 찾아갑니다.

 
stap1

씨앗/모이자 개체만들기

자발적인 의지로 마을공동체를 형성하고 싶은 주민 또는 동아리

 
  • 개념. 마을활동을 처음 시작하는 모임 형성 단계로 주민 간 관계증진을 위한 초기모임 형성자원
  • 참가자격. 마을활동을 처음 시작하려는 3인 이상으로 구성된 주민모임
  • 사업내용. 마을활동가와 멘토링을 통한 모임구성, 학습, 마을조사 등 공동체 초기 사업
  • 기대효과. 주민 스스로 모임을 결성하여 마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동체와 마을활동가를 발굴하고 이웃의 소중함과 믿음이 싹트는 마을공동체 정신 함양의 기회 마련
stap2

새싹/줄기/해보자

동아리 수준을 넘어 공익적활동으로서 마을공동체에 대한 시각이 형성되는 시기

 
  • 개념. 주민 욕구를 반영한 실질적인 마을 문제 해결 실행단계로 주민 관심 사항을 반영하거나 마을 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동체 프로그램 사업 지원
  • 참가자격. 마을공동체 활동 경험이 있는 5인이상 주민모임 또는
    마을공동체 활동 경험이 있는 2인 이상의 공동체 연합
  • 사업내용. 마을미디어, 텃밭, 돌봄교실, 마을학교, 소규모 마을축제 등 주민역량 사업
  • 기대효과. 자발적 참여와 지속 가능성을 갖춘 신뢰와 배려의 공동체를 조성하고 마을공동체 간 협업 등 다양한 네트워크 결합으로 역량강화
stap3

열매/연합/가꾸자

마을의 다양한 네트워크들이 결합, 마을에 적합한 사업모델이 구체화되면서 민-민, 민-관 등 마을 거버넌스가 느슨한 형태로 생성 되는 시기

 
  • 개념. 공동체간 마을에 대한 공통의 목적 달성을 위한 확장 단계로 공통의 관심 사항을 가진 주민모임(마을)이 연합하여 지속 가능한 공동체사업 추진
  • 참가자격. 최소 1개 이상이 마을공동체 활동 3년 이상 경험이 있는 2개 이상의 공동체 연합
  • 사업내용. 동네별 네트워크를 결합하는 마을축제, 마을방과후, 돌봄 등 공동체 활성화 사업
  • 기대효과. 좋은마을 만들기 사업의 직접화를 통해 대전형 공동체 사업의 모델화 추진, 다양한 공동체간 네트워크를 결합하여 마을 거버넌스 형성
stap4

기획공모(숲 생태계)

사회적 관계망 형성과 자발적 참여를 기반으로 기존에 공동체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공동체들이 마을사업에 적합한 모델을 구체화하고 마을공동체 활동 활성화 사업을 통해 신뢰와 배려의 대전공동체를 조성하는 사업

 
  • 자치구별 상이